본문 바로가기
회복의 구조 The anatomy of a recovery

13. 징검다리

by doctorpresent 2022. 2. 20.
반응형

회복에 관련된 구조를 모두 살펴보았다. 
회복을 위해서 해야 할 일도 알게 되었다. 

회복을 위해 여러가지 행동을 할 때 물결을 거슬러 올라가는 느낌을 느낄 수 있다.

힘겹고 숨이 차고 다시 예전으로 돌아가고 싶을 수 있다. 
지금까지와는 다르게 살아야 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와 다르게 식사를 조정해야 하고 의식적으로 식사를 중단해야 한다. 
시간을 따로 내어서 운동을 해야 하며 자신의 생각과 느낌에 깨어있어야 한다. 

깨어 있지 않고 의식적으로 행동하지 않는다면 텔레비전 광고에 나오는 음식을 먹게 될 것이다. 
가까이에 있는 음식점에서 음식을 먹게 되거나 배달음식을 먹게 될 것이다. 
각종 볼거리와 오락거리에 빠져있게 되면 운동할 시간은 사라져 버릴 것이다. 
다른 사람의 생각이 내 머리속을 채울 것이며 마주하는 상황에 대해 두려움 혹은 분노로 반응할 것이다. 

지금까지 자신을 병들게 했던 이 패턴을 깨뜨리는 것은 쉽지 않다. 
물결을 계속 거슬러 헤엄치는 것은 쉽지 않다. 
잠시 쉴 수 있고 회복의 과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징검다리가 필요하다. 

이 방법으로 일상생활을 유연하게 영위하면서 회복을 향해 갈 수 있다. 

징검다리에 대해 몇 가지 규칙은 다음과 같다. 

1. 오전은 통제한다. 오전은 회복을 위해 중요한 시간이다. 다행히, 오전에는 대부분 약속이 없다. 누구에게도 방해받지 않고 메뉴를 정할 수 있다. 오전에는 신선한, 자연 그대로의 과일과 채소만 선택한다. 과일만 먹어도 되고 채소를 곁들여도 된다. 입으로 직접 먹을 때는 양의 제한은 없다. 배부르게 먹어도 되며, 원하는 만큼만 먹어도 된다. 블렌더에 갈아서 먹어도 좋고 착즙을 해서 먹어도 좋다. 다만, 이때에는 단번에 마시지 않고 조금씩 나누어서 먹었으면 좋겠다.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을 먹게 되면 소화기관에 부담이 될 수 있겠고 당수치도 조금 더 빠르게 오를 수 있다. 입으로 먹게 되면 자연스러운 속도로 우리 몸안에 들어오게 되면 섬유소와 함께 먹기 때문에 당이 천천히 오르게 된다. 

일주일에 두번의 규칙을 따른다. 
2. 일주일에 두 번은 단식을 한다. 되도록 24시간 이상의 단식을 목표로 한다. 
3. 일주일에 두번은 온종일 식물성 음식을 먹도록 노력한다. 
4. 일주일에 두번은 일탈을 허용한다. 사회생활을 하기에 사람들과 만나야 한다. 모든 음식을 통제할 수는 없다. 일주일에 두 번은 고기를 허용하며 일주일에 두 번은 조리된 음식을 허용한다. 차선, 차악을 선택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최선의 음식은 과일, 채소, 생감자, 생고구마이다. 
차선의 음식은 식물성 기름, 조리된 감자, 고구마, 현미이다. 
차악의 음식은 양질의 삶은 고기이다. 
최악의 음식은 밀가루, 설탕, 과당 , 고열을 가해 만든 음식(예를 들어 튀김음식)이다.  
최선의 음식을 먹을 수 없다면 단식하는 것이 가장 좋다. 여러 이유로 먹을 수 밖에 없다면 지혜롭게 차선 혹은 차악의 음식을 선택해서 최악의 음식은 피하자. 

5. 일주일에 두번은 달리기를 한다. 

6. 일주일에 두번은 두드리기, 흔들기, 감싸 안기를 한다. 

7. 일주일에 두번은 명상을 한다. 명상이 어렵다면, 감사일기, 소망일기, 감싸 안기가 명상과 같은 효과를 낸다. 

이 일곱 가지의 징검다리를 이용하면 건강을 유지할 수 있고 아프다면 회복을 향해 다가갈 수 있다. 
이러한 생활에 익숙해 지면 회복에 모든 시간을 회복에 바치기로 결심해 본다. 

짧으면 7일, 길면 100일을 회복에 온전히 집중해 보자. 
1. 단식 시간을 3일 이상 늘려보자. 3일 이상의 단식은 면역계를 완전히 새로이 한다. 단식 시간을 3일로 할지 7일 이상으로 할지는 몸 상태에 맞추어 지혜롭게 결정하자. 
2. 단식 이외의 식사는 모두 생채식으로 하자. 과일, 채소, 생감자, 생고구만 먹는 것이다. 
3. 일주일에 두번 이상 달리기를 한다. 
4. 매일 두드리기, 흔들기, 감싸 안기를 한다. 
5. 매일 명상을 한다. 명상이 어렵다면, 감사일기, 소망일기, 감싸 안기가 명상과 같은 효과를 낸다. 

징검다리를 이용해서 회복을 위한 생활에 익숙해지자. 
그리고 어느 날 회복을 위해 전념하기로 결심하는 순간이 올 것이다. 







'회복의 구조 The anatomy of a recove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 후기  (0) 2022.03.06
14. 오늘 해야 할 일  (0) 2022.02.27
12. 회복의 전체 지도  (0) 2022.02.13
11. 창조작업  (0) 2022.02.06
10. 창조의 힘  (0) 2022.01.30

댓글